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홈 영양문인마당오일도오일도

오일도


낭만주의 시인이며 민족주의 시인 ‘오일도’

오일도(吳一島) 1901∼1946
  • 정의 : 시인(詩人), 학자(學者), 지사(志士)
  • 자호 : 본명(本名)은 희병(熙秉), 아호(雅號)는 일도(一島)
  • 생애 : 1901-1946 오시준(吳時俊) 칠원현감(漆原縣監)의 10세손이며, 오익휴(吳益休)의 둘째 아들
  • 활동사항 : 「시원(詩苑)」 창간(創刊)
  • 시집 : 「오일도시(吳一島詩)」, 산문집 (저녁놀)
감천마을의 오일도 시공원의 조각상

감천마을의 오일도 시공원의 조각상

본명은 희병(熙秉)이요 일도(一島)는 아호(雅號)이다. 오시준 칠원현감(吳時俊 漆原 縣監)의 10세손이며 오익휴(吳益休)선생의 둘째 아들로서 1901년(光武 5년) 영양면 감천동(甘川洞)에서 태어났다.
8세에 사숙(私淑)에서 6년간 한문을 수학할 때에 비범한 재질이라 성적이 우수하였다.
1915년 3월 16세로서 뒤늦게 영양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한 학년을 건너뛰어 1918년에 4학년을 졸업하고 전국의 수재들이 모여드는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응시 합격하여 입학하였다.

1923년 일본 동경의 입교(立敎)대학 철학부에서 학구(學究)에 정진(精進)하는 한편 시예술(詩藝術)에 심취해서 1925년 문예월간지 조선문단(朝鮮文壇) 4월호에 처녀작 [한가람 백사장(白沙場)에서]를 발표하였다.

흰 갈매기 같은 우리 백의민족(白衣民族)이 모여 흰 빛을 발하던 한가람(漢江) 백사장을 갈가마귀 떼가(쪽발이 왜놈들) 차지했으니 한민족(韓民族)의 한(恨)이 서린 영탄(詠嘆)은 다음과 같다. “한가람 백사장은 흰 갈매기 놀던 곳 흰 갈매기 어디 가고 갈가마귀 놀단 말가. 교하(橋下)에 푸른 물은 의구(依舊)히 흐르건만 이처럼 변하였노

1929년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하여 192년에 근화학교(덕성여중고의 전신)에서 1년간 교편을 잡았었다.
1935년 2월 사재(私財)를 기울여 순수시지(純粹時誌) 시원(詩苑)을 창간(創刊)하여 조선문단의 시인들을 총망라(總網羅)하다시피 한 시 작품 발표기관의 역할을 함으로써, 한국시단에 끼친바 영향(影響)이 크다.
1936년에는 시원사(詩苑社)에서, ≪을해명시선(乙亥名詩選)≫을 발간하였으며, 작고(作故)한 약관시인(弱冠詩人)의 ≪세림시집(世林詩集≫(21세에 요절한 조동진 유시집)을 발간하여 고향 후배 시인에 대한 애절(哀切)한 정회(情懷)를 서문(序文)에 옮기기도 했다. 그 선후배 이미 이승을 떠난 지 오래며, 세림의 아우 지훈(芝熏)마저 떠난 지 십여 년이라 인생 무상함이 하염없어라.

오일도(吳一島)시를 순수 서정시라 일러, 황량(荒凉)과 조락(凋落)이 주조(主調)를 이룬 그의 시엔 민족의 얼과 정과 한이 스민 민족 시인이기도 하다.
[올빼미] 가운데 “한낮에도 광명(光明)을 등진 반역(反逆)의 슬픈 유족(遺族), 오오 올빼미여! 자유(自由)는 이 땅에서 빼앗긴지 오래였나니” 그러나, 흑암 같은 절망이 있을 수 없는 선생의 시는 예언자처럼 소리 높여 읊었다.

“여름 긴긴 해 울로(鬱怒)의 하루가 저물면, 세상이 다 자는 너 대기(待機)의 밤은 이제 오리니. 쭈구린 날개를 펴고 창공을 향하여 바람같이 번개같이 밤을 일지 말아라”

저항시인의 면목이 약여(躍如)한 선생은 현대시의 시인으로 알려졌지만, 그의 한시(漢詩)는 한결 높이와 깊이가 있다.
[징용차를 보내며(送徵用車)]의 전반에 “나의 집은 한길 가 아침 저녁으로 수레가 잇닫는다. 보내고 또 보내는 눈물 어이 끝나리. 언제 돌아오나 물으면 대답은 아득할 뿐(吾家大路邊 朝暮車連綿 送送淚何盡 歸期問杳然)”이라는 시는 가혹(苛酷)한 전쟁 시기에 왜정(倭政)의 징용을 당해 정든 고장을 떠나가는 겨레의 돌아올 날 묘연(杳然)함을 암울(暗鬱)한 심정으로 읊은 시다.
[형님께 부침](서예가 오희태)이라는 동기간의 애절한 정이 서린 장시 가운데 이런 구절이 있다. “나 어찌 부득이한 몸이 되어 하늘가에 아득한 기인 나그네 신세 근역강산(槿域江山)의 흑암(黑暗)을 통곡하노니 아아 천추(千秋)에 호소할 곳 없어라.(奈我不得身 天涯作長旅 痛哭山河暗 千秋訴無處)” 이 시에서는 나라 잃은 채 민족의 절개를 지키자니 쫓기는 신세의 비분강개(悲憤慷慨)함이 후인(後人)들의 가슴을 울린다.

선생은 낭만주의 시인이며 민족주의 시인임과 아울러 철학을 전공한 만큼 종교 철학적인 경건한 시를 읊었다. “성의(聖衣)의 자라처럼 침묵(沈?)이 무거운 송원(松園)의 밤.
마을은 백양(白羊)의 꿈속에 잠기고 배개인 모래 밭 맨발이 죄스러워(…)경건(敬虔)한 기도(祈禱)에 처녀는 머리칼하나 흔들리지 않는다.”
또 [별] 이라는 짧은 시에는 “가지 사이에 별이 보인다. 천년만년 예지에 찬 눈. 우주는 영원히 멸망 않으리!” 마치 성시를 대하는 느낌이다.

오일도 시인의 고매한 정신과 올곧은 절개는 끝내 변함이 없었다.
왜정말기에 조선문인들 대다수가 회유 또는 억압당함으로써 왜정에 부동하는 친일문인으로 변조되었으니, 그들 중엔 마치 갈보와 같이 교태부리며 무문곡필을 농간하여 일본제국주의에 아부하는 요사스러운 문인도 있었건만.

해방 후 1966년 임종국(林鍾國)의 친일문학론을 샅샅이 뒤져보아도 그 가운데 너무나 많은 친일명사와 친일 무사들의 이름이 즐비하건만, 오일도시인의 그림자조차 없으니 이역만리 쫓기는 신세이면서도 왜추앞에 굴종하지 않은 절개 있는 선비이기도 하다.

8·15 직후 민족반역인 좌익분자들이 광복 조국을 어지럽힐 때에 구국의 뜻을 품은 선생은 민족 민주 진영인 한국민주당에 입당했으나 이듬해인 1946년에 간경화증으로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한 2월 28일 맏아들의 가택에서 별세하니 향년 46세의 애석한 나이였다.
작고 후에 발간한 ≪오일도시(吳一島詩)≫와 산문집(散文集) ≪저녁놀≫의 표제가 상징하는바 “이 우주에 저보다 더 아름다운 것이 또 무엇이랴! 저녁놀을 타고 나는 간다.” 아아! 아름다운 저녁놀을 타고 내 고장 출신의 시인 오일도 선생은 떠난 지 이미 오래나 님의 선비다운 인품과 예술은 길이 빛나리라.

<자료출처 : 영양문화관광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