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홈 영양문인마당이문열영양(두들마을)과 이문열

영양(두들마을)과 이문열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두들마을’

언덕위의 마을 - 두들마을

경북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에 자리잡고 있는 두들마을은 ‘언덕 위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1640년 석계 이시명 선생이 병자호란을 피해서 들어와 개척한 이후, 그의 후손인 재령 이씨들이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조선 시대 1899년에는 이곳에 국립병원 격인 광제원이 있었다 하여 ‘원두들, 원리’라 부르기도 한다.
마을에는 석계 선생이 살았던 석계고택과 석계 선생이 학생들을 가르쳤던 석천서당을 포함하여 전통가옥 30여 채를 비롯하여 한글 최초의 조리서 ‘음식디미방’을 쓴 정부인 장씨를 기리는 안동장씨유적비, 이문열이 세운 광산문학연구소 등이 있다.
마을 앞을 흐르는 화매천을 둘러친 절벽 바위에는 석계 선생의 넷째 아들인 이숭일이 새겨 놓은 동대·서대·낙기대·세심대 등 유묵도 뚜렷하게 보인다.1994년 정부로부터 문화마을로 지정되었다.

광산문학연구소

광산문학연구소 광산문우(匡山文宇)라고 적힌 간판이 보인다.

광산문학연구소
광산문우(匡山文宇)라고 적힌 간판이 보인다.

한국 현대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문학도를 양성하기 위하여 소설가 이문열씨의 고향이며, 그의 소설[선택]등의 배경장소로 유명한 곳인 원리리 두들마을에 광산문학연구소를 건립하였다.

이 마을은 한국문학의 거장 이문열 작가의 고향으로 그의 저서 <그해겨울>,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금시조>, <황제를 위하여>, <영웅시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많은 작품 속에 인물들의 삶의 역정이 펼쳐지는 무대가 바로 이곳이기도 하다.

이문열의 글에 나타난 두들마을

두들마을의 돌담길은 운치를 더한다.

두들마을의 돌담길은 운치를 더한다.

“내게 있어 고향의 개념은 바로 문중(門中)이다. 그 고향은 일찍이 내 보잘 것 없는 재주에 과분한 갈채와 기대를 보내주었다. 그런데 나는 근년 들어 계속 한심하고 실망스런 꼴을 보이다가 끝내는 시정(市井)의 잡문을 담는 그릇으로 결정되고 말았다. 행여 이 글이 그런 내게 느낀 고향의 배신감을 조금이라도 달래줄 수 있다면...”

-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작가 후기에서

“진정으로 사랑했던 고향에로의 통로는 오직 기억으로만 존재할 뿐, 이 세상의 지도로는 돌아갈 수 없다. 아무도 사라져 가는 아름다운 시간 속으로, 그 자랑스러우면서도 음울한 전설과 장려한 낙일(落日)도 없이 무너져 내린 영광 속으로 돌아갈 수 없고, 현란하여 몽롱한 유년과 구름처럼 허망히 흘러가 버린 젊은 날의 꿈속으로 돌아갈 수 없으므로, 한때는 열병 같은 희비(喜悲)의 원인이었으되 이제는 똑같은 빛깔로만 떠오르는 지난날의 애증과 낭비된 열정으로는 누구도 돌아갈 수 없으며 강풍에 실이 끊겨 가뭇없이 날려 가버린 연처럼 그리운 날의 옛 노래도 두 번 다시 찾을 길 없으므로...

우리집 옆은 오일도 등과 함께 활약했던 30년대의 시인 이병각의 생가가 있다. 젊어 죽어 그리 많은 작품이 남아 있지 않지만 ‘낙동강’ 같은 시는 원로시인 가운데는 아직도 기억하는 분이 많다. 그 밖에도 그 언덕을 중심으로 사오십간의 고가가 아홉 채쯤 된다. 원래는 열한 채였다는데, 제일 좋은 집은 6025 공비들에 의해 불타고 또 한집은 무너져 아홉 채만 남게 되었다는 것이다.”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