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3층 전시체험 소개

  • HOME
  • 전시체험
  • 전시체험 소개
  • 3층 전시체험 소개

3층_True 진리의 등대 요약서

  • 1수학과 산업 혁신
    산업 수학 벽면 패널
    산업 수학 벽면 패널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산업 수학의 개념과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사례 (물류, 건축, 철강) 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NIMS)에 대해 알 수 있다. (영상 O)
    우리는 수학 수사대!
    우리는 수학 수사대!
    여러 수학적 풀이를 하며 ‘방탈출’! 수학 수사대가 되어 과학 수사 기법 (족적, 핫 존, 지문 등)으로 범인을 찾아내고 사건을 해결해 보자.
    어떻게 질병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을까? (의료 수학)
    어떻게 질병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을까? (의료 수학)
    전염병 예측에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 (SEIR)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영상 O)
    영화 속 CG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영화 속 수학)
    영화 속 CG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영화 속 수학)
    영화 속 CG 구현에 사용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영상 O)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빅데이터)
    빅데이터가 무엇이며 어디에 활용되는지 알아볼 수 있다. (EBS 영상 O)
    수학으로 날씨를 예측할 수 있을까? (일기예보와 수학)
    수학으로 날씨를 예측할 수 있을까? (일기예보와 수학) (빅데이터)
    ‘마르코프 성질’을 이용해서 확률을 구하고 내일의 날씨를 예측하는 원리에 대해 알 수 있다.
    머지큐브로 증강현실을 탐구해볼까? (증강현실로 보는 세상)
    머지큐브로 증강현실을 탐구해볼까? (증강현실로 보는 세상)
    머지큐브 (Merge cube)를 활용하여 다양한 테마의 증강현실을 체험하고 탐구해 볼 수 있다.
  • 2수학과 코딩
    산업 수학 벽면 패널
    산업 수학 벽면 패널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산업 수학의 개념과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사례 (물류, 건축, 철강) 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NIMS)에 대해 알 수 있다. (영상 O)
    우리는 수학 수사대!
    우리는 수학 수사대!
    여러 수학적 풀이를 하며 ‘방탈출’! 수학 수사대가 되어 과학 수사 기법 (족적, 핫 존, 지문 등)으로 범인을 찾아내고 사건을 해결해 보자.
    어떻게 질병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을까? (의료 수학)
    어떻게 질병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을까? (의료 수학)
    전염병 예측에 사용되는 수학적 모형 (SEIR)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영상 O)
    영화 속 CG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영화 속 수학)
    영화 속 CG는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영화 속 수학)
    영화 속 CG 구현에 사용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영상 O)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빅데이터)
    빅데이터가 무엇이며 어디에 활용되는지 알아볼 수 있다. (EBS 영상 O)

3층_Harmony 조화의 공원 요약서

  • 1퍼즐과 수학
    도형 틀 안에 몇 개의 원기둥을 넣을 수 있을까?
    도형 틀 안에 몇 개의 원기둥을 넣을 수 있을까?
    도형 틀 안에 일정한 크기의 원기둥을 넣어보며 최대한 많이 넣을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조각을 움직여 퍼즐을 완성할 수 있을까?
    조각을 움직여 퍼즐을 완성할 수 있을까?
    가능한 형태와 불가능한 형태의 퍼즐을 풀어보며, 샘 로이드 15 퍼즐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종이접기는 인공위성 제작에 어떻게 활용될까?
    종이접기는 인공위성 제작에 어떻게 활용될까?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종이접기의 원리를 탐구해 보고 수학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조각을 쌓아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볼까?
    조각을 쌓아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볼까?
    카프라 블록으로 여러형태의 구조물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성냥개비를 어디로 옮겨야 퍼즐을 풀 수 있을까?
    성냥개비를 어디로 옮겨야 퍼즐을 풀 수 있을까? (빅데이터)
    성냥개비 퍼즐 문제를 풀어보며 수학의 최소화와 최적화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 2놀이와 수학
    어떤 고기를 낚아야 식을 완성할 수 있을까?
    어떤 고기를 낚아야 식을 완성할 수 있을까?
    식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물고기를 잡으며 사칙연산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어떤 수를 찾아야 할까?
    어떤 수를 찾아야 할까?
    미션을 해결하며 소수와 합성수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어떤 길을 만들어야 공이 늦게 도착할까?
    어떤 길을 만들어야 공이 늦게 도착할까?
    어떻게 하면 땅에 바로 떨어지지 않고 오래 이동할지 다양한 모양의 블록으로 자신만의 코스를 만들어 보며 경사면의 성질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 3빛과 수학
    그림자를 이용하여 어떻게 놀 수 있을까?
    그림자를 이용하여 어떻게 놀 수 있을까?
    광원으로부터 물체의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그림자의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놀이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두 거울의 각도에 따라 어떤 거울상이 만들어질까?
    우리는 수학 수사대!
    두 거울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만들어지는 상의 수를 관찰해보며, 두 거울이 이루는 사잇각과 거울상 사이의 규칙을 알 수 있다.
    원기둥, 원뿔 거울은 어떤 거울상을 만들까?
    원기둥, 원뿔 거울은 어떤 거울상을 만들까?
    왜상 화법으로 그려진 그림 위에 원기둥과 원뿔 거울을 올려서 숨겨진 그림을 탐구해 보며, 왜상 그림을 그릴 때 대칭, 각도를 어떻게 그려야 원기둥과 원뿔 거울을 통해 정상적인 그림으로 볼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착시 작품을 거울에 비춰볼까?
    착시 작품을 거울에 비춰볼까?
    선, 각, 대칭으로 만들어진 착시도형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며 착시의 원리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거울 속에서 반복되는 모양은 어떤 규칙으로 보일까?
    거울 속에서 반복되는 모양은 어떤 규칙으로 보일까?
    거울을 특정한 각도(60˚ 72˚ 120˚)로 배치하여 각도가 좁아질수록 상이 여러 번 반사된다는 것을 이용한 미로를 체험하며 거울의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 4예술과 수학
    같은 모양의 도형으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
    같은 모양의 도형으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
    다양한 모양의 조각을 이용하여 벽면을 채워보며 테셀레이션의 원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직선을 이어 곡선을 만들 수 있을까?
    직선을 이어 곡선을 만들 수 있을까?
    특정한 간격으로 직선을 여러 개 만들어 아름다운 곡선이나 패턴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두 톱니바퀴가 회전하여 어떠한 곡선을 그릴까?
    두 톱니바퀴가 회전하여 어떠한 곡선을 그릴까?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톱니바퀴를 회전하여 그리는 궤적을 통해 스피로 그래프를 만들어 보며 다양한 모양을 관찰하고 두 톱니 사이의 최소공배수에 대해 이해해 볼 수 있다.
    예술 분야에서는 어떤 수학적 원리가 적용될까?
    예술 분야에서는 어떤 수학적 원리가 적용될까?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수학과 관련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다.
  • 5음악과 수학
    노이즈 캔슬링에 어떤 수학적 원리가 숨어 있을까?
    노이즈 캔슬링에 어떤 수학적 원리가 숨어 있을까?
    게시물을 읽어보며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숫자로 악보를 만들어 볼까?
    숫자로 악보를 만들어 볼까?
    숫자를 입력하여 특정한 수(원주율)나 자신만의 수로 만들어진 음악을 감상해 본다.
    분수로 표현된 리듬에 따라 춤을 춰볼까?
    분수로 표현된 리듬에 따라 춤을 춰볼까?
    떨어지는 노트를 정확한 타이밍에 발로 터치하며 박자와 수학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화음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화음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피타고라스가 고안한 음계를 직접 현을 튕기며 찾아보면서 수학과 음악의 관계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