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4층 전시체험 소개

  • HOME
  • 전시체험
  • 전시체험 소개
  • 4층 전시체험 소개

4층_Making 창조의 광장 요약서

  • 1수학의 탄생
    발견의 순간, 유레카! (트릭아트로 역사 속의 인물과 찰칵)
    발견의 순간, 유레카! (트릭아트로 역사 속의 인물과 찰칵)
    수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을 트릭아트로 구성한 포토 존. 현실에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는 그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며 착시 현상에 대해 알고 체험할 수 있다.
    위대한 수학자와의 만남(수학자의 업적)
    위대한 수학자와의 만남(수학자의 업적)
    수학자의 이름이 적힌 카드를 지정된 위치에 올리면 그 수학자의 업적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학파의 수학적 연구와 그들의 대표 업적인 피타고라스의 정리 증명을 퍼즐을 맞추어보며 이해할 수 있다.
    뿔과 기둥의 부피는 어떤 관계일까? (아르키메데스와 도형의 부피)
    뿔과 기둥의 부피는 어떤 관계일까? (아르키메데스와 도형의 부피)
    다양한 모양의 입체도형에 입자가 작은 물체를 담아 채우고 뿔과 기둥 간의 상관관계와 부피를 눈으로 비교해 볼 수 있다.
    원을 잘게 나눠서 원의 넓이를 구해볼까? (원의 넓이 실험기)
    원을 잘게 나눠서 원의 넓이를 구해볼까? (원의 넓이 실험기)
    원을 잘게 잘라 이어 붙이면 그 모양이 직사각형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알고, 직사각형의 넓이로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의 겉넓이는 원의 넓이의 몇 배일까? (구의 겉넓이 실험)
    구의 겉넓이는 원의 넓이의 몇 배일까? (구의 겉넓이 실험)
    원의 넓이가 직각삼각형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이 직각삼각형을 원기둥에 붙여보며 구의 겉넓이를 탐구할 수 있다.
    디오판토스의 일생을 맞혀 볼까? (디오판토스의 묘비)
    위대한 수학자와의 만남(수학자의 업적)
    디오판토스의 일생을 수학적인 언어로 바꾸어 수수께끼처럼 서술한 묘비를 보고, 디오판토스의 삶에 대해 읽어보며 묘비에서 제시된 문제를, 일차방정식을 이용해 해결해 볼 수 있다.
  • 2수학의 발전
    매달 토끼는 몇 쌍으로 늘어날까? (피보나치수열)
    매달 토끼는 몇 쌍으로 늘어날까? (피보나치수열)
    제시된 문제에 따라 토끼 자석을 붙이며 규칙을 찾아내고, 피보나치수열이라는 개념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숫자를 따라 이어보면 어떤 그림이 나올까? (피보나치 해바라기 퍼즐)
    숫자를 따라 이어보면 어떤 그림이 나올까? (피보나치 해바라기 퍼즐)
    꽃잎 모양의 퍼즐을 맞춰 보며 솔방울의 나선이나 꽃잎 같은 자연 속에도 피보나치수열과 같은 수학적 원리가 숨어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똑같은 조각인데 넓이가 왜 달라 보일까? (피보나치 착시 퍼즐)
    똑같은 조각인데 넓이가 왜 달라 보일까? (피보나치 착시 퍼즐)
    같은 다각형 조각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넓이의 판을 채워보고 피보나치수열을 이용한 착시에 대해, 탐구해 볼 수 있다.
    빙글빙글 돌아가는 액체를 관찰해 볼까? (이차함수 회전기)
    빙글빙글 돌아가는 액체를 관찰해 볼까? (이차함수 회전기)
    원판을 돌려 통 안에 담긴 액체를 회전시키고 원심력에 의해 물의 표면이 포물선 모양으로 휘어짐을 관찰하며 이차함수의 모양에 대해, 탐구할 수 있다.
    이차함수로 두 수의 곱을 구할 수 있을까? (이차함수 계산기)
    이차함수로 두 수의 곱을 구할 수 있을까? (이차함수 계산기)
    이차함수 그래픽 위에 곱하고자 하는 두 수에 해당하는 함숫값에 줄을 걸면 그 줄의 y절편이 항상 두 수의 곱임을 확인할 수 있다.
  • 3수학의 개화
    뉴턴과 라이프니츠, 누가 먼저 미적분을 발견했을까? (미적분의 역사)
    뉴턴과 라이프니츠, 누가 먼저 미적분을 발견했을까? (미적분의 역사)
    벽면의 영상을 통해 라이프니츠와 뉴턴의 미적분 분쟁에 대해 알아본다.
    몇 가지 색으로 지도를 색칠할 수 있을까? (4색 문제)
    몇 가지 색으로 지도를 색칠할 수 있을까? (4색 문제)
    지도에서 인접한 지역을 서로 다른 색의 조각들로 채워보며, 총 몇 가지 색으로 지도를 색칠할 수 있는지 탐구해 볼 수 있다.
    수학자의 수명을 늘려준 로그자(로그의 발견과 활용)
    수학자의 수명을 늘려준 로그자(로그의 발견과 활용)
    로그자를 통해 두 수를 곱해 보거나 로그를 구하며 과거 수학자들이 사용했던 로그자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지나도록 건널 수 있을까? 손을 떼지 않고 한 번에 그릴 수 있을까? (오일러의 경로와 한붓그리기)
    7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지나도록 건널 수 있을까? 손을 떼지 않고 한 번에 그릴 수 있을까? (오일러의 경로와 한붓그리기)
    한붓그리기(오일러 경로)의 규칙에 따라 직접 다양한 경로를 그려보며 홀수점의 개수가 0이거나 2인 경우에만 한붓그리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어떤 단어을 숨겼을까? (카이사르 암호 체험)
    어떤 단어을 숨겼을까? (카이사르 암호 체험)
    카이사르 암호 체험을 통해 직접 숨겨진 암호를 맞추어 찾아보고, 암호학의 기초가 되는 치환 암호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다.
    암호는 정말 안전할까? (에니그마 체험)
    암호는 정말 안전할까? (에니그마 체험)
    기계식 암호기 에니그마의 원리를 영상으로 시청하며 이해할 수 있다.
    그래프는 무엇을 말해줄까? (통계의 역사)
    그래프는 무엇을 말해줄까? (통계의 역사)
    역사적 사건에 대한 통계 자료를 다양한 그래프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 4우리나라 수학
    수를 배열하여 마방진을 만들어볼까? (마방진)
    수를 배열하여 마방진을 만들어볼까? (마방진)
    게임을 통해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모두 같은 수를 배열하며 마방진에 대해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다.
    올해는 무슨 해일까? (60갑자)
    올해는 무슨 해일까? (60갑자)
    역사적인 사건을 기록할 때 이용된 육십갑자에 대해 태엽을 돌려보며 쉽게 이해하고, 같은 해 이름이 돌아오려면 몇 번의 태엽이 돌아가는지 횟수를 세어보며 최소공배수에 대한 개념을 탐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수학사
    우리나라 수학사
    최석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수학사를 알아볼 수 있다.
    수학으로 알아보는 독도는 우리 땅
    수학으로 알아보는 독도는 우리 땅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료와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풀이하며 확인할 수 있다.
    내 손으로 아름다운 단청을 완성해 볼까? (단청 색칠하기)
    내 손으로 아름다운 단청을 완성해 볼까? (단청 색칠하기)
    우리나라의 전통 문양을 활용한 단청 모양의 틀에 오행설을 기반으로 한 오방색을 직접 칠해보면서 전통 문양 속의 균형과 아름다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쪽매맞춤으로 전통 문양을 만들어볼까? (쪽매맞춤)
    쪽매맞춤으로 전통 문양을 만들어볼까? (쪽매맞춤)
    직접 만든 단청 문양 위에 거울을 올리고 안쪽을 들여다보며 쪽매맞춤(테셀레이션)을 체험하고 각 도형이 어떤 규칙으로 공간을 가득 채우는지 관찰해 볼 수 있다.
    주령구 각 면이 나올 확률은 같을까? (주령구)
    주령구 각 면이 나올 확률은 같을까? (주령구)
    신라에서 사용한 놀이용 도구 ‘주령구’를 체험하며 역사적으로 사용된 놀이와 주사위의 각 면이 나올 확률을 탐구할 수 있다.
    연결된 육각형의 비밀을 풀어볼까? (지수귀문도)
    연결된 육각형의 비밀을 풀어볼까? (지수귀문도)
    40부터 62까지의 수 중 하나를 선택 후, 육각형의 꼭짓점에 적힌 수의 합이 선택한 수가 되도록 1부터 16이 적힌 말을 배치하는 놀이를 통해 지수귀문도를 체험해 볼 수 있다.

4층_Advance 발전의 도시 요약서

  • 1도형의 변신
    원이 아닌 모양의 바퀴도 굴러갈까? (정폭도형 자전거)
    원이 아닌 모양의 바퀴도 굴러갈까? (정폭도형 자전거)
    정폭도형 모양의 바퀴로 된 자전거를 굴려보며 정폭도형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로터리 엔진에는 어떤 수학 원리가 적용될까? (자동차 실린더)
    로터리 엔진에는 어떤 수학 원리가 적용될까? (자동차 실린더)
    고치모양의 틀 속에 있는 삼각형을 돌려보며 로터리 엔진에 사용되는 정폭도형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그 성질을 탐구해 볼 수 있다.
    맨홀 뚜껑은 왜 원 모양으로 만들어졌을까? (맨홀 뚜껑)
    맨홀 뚜껑은 왜 원 모양으로 만들어졌을까? (맨홀 뚜껑)
    다양한 모양의 맨홀 뚜껑을 구멍에 넣어보며 구멍에 빠지지 않는 도형이 정폭도형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사람을 위한 수학
    사람을 위한 수학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위해 국가들이 하고 있는 다양한 노력과 수학이 이에 기여하는 모습을 수학의 원리로 만들어진 다양한 모형을 보며 확인할 수 있다.
    도형이 만드는 세상 (맥포머스)
    도형이 만드는 세상 (맥포머스)
    맥포머스를 연결해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 보면서 2차원적인 평면 구성물이 어떻게 3차원적인 입체구조물로 변화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입체도형에 어떤 평면도형이 숨어 있을까? (입체도형 단면 관찰기)
    입체도형에 어떤 평면도형이 숨어 있을까? (입체도형 단면 관찰기)
    다양한 입체도형을 기울여보며 각도에 따라 도형의 수면에 생기는 모양을 통해 입체도형과 평면도형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은 어디일까?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은 어디일까?
    세 변이 색칠된 삼각형과 세 꼭짓점이 색칠된 삼각형을 회전시키며 내심, 외심, 무게중심을 알아볼 수 있다.
    평면도형이 회전하면 어떤 모양일까?
    평면도형이 회전하면 어떤 모양일까?
    다양한 평면도형을 회전시키며 만들어진 입체도형을 관찰하고, 회전축과 회전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2수의 신비
    내가 만든 음식의 칼로리는 얼마나 될까? (푸드파이터)
    내가 만든 음식의 칼로리는 얼마나 될까? (푸드파이터)
    바코드 리더기로 식자재의 바코드를 찍어보며 음식을 완성하고 그 영양성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몇 바퀴 돌려야 다시 만날까? (자석 톱니바퀴)
    몇 바퀴 돌려야 다시 만날까? (자석 톱니바퀴)
    다양한 톱니 수를 가진 톱니바퀴를 돌려보며 각 톱니바퀴가 몇 바퀴 회전해야 다시 같은 위치에서 만나는지 확인하고 두 수의 공배수를 이해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시소를 평형이 되게 맞출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시소를 평형이 되게 맞출 수 있을까?
    미션에 따라 블록을 올리고, 기울어진 시소의 평행을 맞춰 봄으로써 시소에 숨겨진 수학적 원리를 탐구해 볼 수 있다.
    식을 세워 수학 시계를 만들어 볼까?
    식을 세워 수학 시계를 만들어 볼까?
    1부터 12의 수를 다양한 수식으로 표현해 수학 시계를 구성해 볼 수 있다.
  • 3패턴과 예측
    원하는 주사위 눈이 나올 확률은 어떻게 될까?
    원하는 주사위 눈이 나올 확률은 어떻게 될까?
    미션에 해당하는 수가 나오도록 주사위를 던져보며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을 이해해 볼 수 있다.
    어디에 더 많은 공이 쌓일까? (이항분포 실험기)
    어디에 더 많은 공이 쌓일까? (이항분포 실험기)
    이항분포 실험기에 여러 개의 공을 굴려보고 공이 누적된 모습이 정규분포와 비슷한 형태가 되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어떤 문을 골라야 당첨될까? (몬티홀 딜레마)
    어떤 문을 골라야 당첨될까? (몬티홀 딜레마)
    몬티홀 문제를 풀어보며 확률에 따른 인간의 합리성과 비합리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 4기하의 세계
    어떤 길을 구르는 공이 가장 빠르게 도착할까?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
    어떤 길을 구르는 공이 가장 빠르게 도착할까?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
    어떤 코스를 달리는 공이 가장 빠르게 골인 지점에 도착하는지 살펴보며 사이클로이드 곡선의 원리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여러 가지 도형을 찾아라!
    여러 가지 도형을 찾아라!
    다양한 주제의 게임을 통해 여러 가지 도형의 특징과 형태를 알아볼 수 있다.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있을까? (클라인 병)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있을까? (클라인 병)
    뫼비우스와 클라인 병의 연결성을 소개하는 영상을 보며 클라인 병에 접목된 수학적 원리를 알아볼 수 있다
    어떻게 해야 맞힐 수 있을까? (원리 당구대)
    어떻게 해야 맞힐 수 있을까? (원리 당구대)
    이차곡선 당구대에 공을 올리고 공을 치면서 포물선, 쌍곡선, 타원의 반사 성질을 탐구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