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수학의 탄생
발견의 순간, 유레카! (트릭아트로 역사 속의 인물과 찰칵)
수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업적을 트릭아트로 구성한 포토 존. 현실에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는 그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며 착시 현상에 대해 알고 체험할 수 있다.
위대한 수학자와의 만남(수학자의 업적)
수학자의 이름이 적힌 카드를 지정된 위치에 올리면 그 수학자의 업적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피타고라스학파의 수학적 연구와 그들의 대표 업적인 피타고라스의 정리 증명을 퍼즐을 맞추어보며 이해할 수 있다.
뿔과 기둥의 부피는 어떤 관계일까? (아르키메데스와 도형의 부피)
다양한 모양의 입체도형에 입자가 작은 물체를 담아 채우고 뿔과 기둥 간의 상관관계와 부피를 눈으로 비교해 볼 수 있다.
원을 잘게 나눠서 원의 넓이를 구해볼까? (원의 넓이 실험기)
원을 잘게 잘라 이어 붙이면 그 모양이 직사각형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알고, 직사각형의 넓이로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의 겉넓이는 원의 넓이의 몇 배일까? (구의 겉넓이 실험)
원의 넓이가 직각삼각형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이 직각삼각형을 원기둥에 붙여보며 구의 겉넓이를 탐구할 수 있다.
위대한 수학자와의 만남(수학자의 업적)
디오판토스의 일생을 수학적인 언어로 바꾸어 수수께끼처럼 서술한 묘비를 보고, 디오판토스의 삶에 대해 읽어보며 묘비에서 제시된 문제를, 일차방정식을 이용해 해결해 볼 수 있다.
4우리나라 수학
수를 배열하여 마방진을 만들어볼까? (마방진)
게임을 통해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모두 같은 수를 배열하며 마방진에 대해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다.
올해는 무슨 해일까? (60갑자)
역사적인 사건을 기록할 때 이용된 육십갑자에 대해 태엽을 돌려보며 쉽게 이해하고, 같은 해 이름이 돌아오려면 몇 번의 태엽이 돌아가는지 횟수를 세어보며 최소공배수에 대한 개념을 탐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수학사
최석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수학사를 알아볼 수 있다.
수학으로 알아보는 독도는 우리 땅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료와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풀이하며 확인할 수 있다.
내 손으로 아름다운 단청을 완성해 볼까? (단청 색칠하기)
우리나라의 전통 문양을 활용한 단청 모양의 틀에 오행설을 기반으로 한 오방색을 직접 칠해보면서 전통 문양 속의 균형과 아름다움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쪽매맞춤으로 전통 문양을 만들어볼까? (쪽매맞춤)
직접 만든 단청 문양 위에 거울을 올리고 안쪽을 들여다보며 쪽매맞춤(테셀레이션)을 체험하고 각 도형이 어떤 규칙으로 공간을 가득 채우는지 관찰해 볼 수 있다.
주령구 각 면이 나올 확률은 같을까? (주령구)
신라에서 사용한 놀이용 도구 ‘주령구’를 체험하며 역사적으로 사용된 놀이와 주사위의 각 면이 나올 확률을 탐구할 수 있다.
연결된 육각형의 비밀을 풀어볼까? (지수귀문도)
40부터 62까지의 수 중 하나를 선택 후, 육각형의 꼭짓점에 적힌 수의 합이 선택한 수가 되도록 1부터 16이 적힌 말을 배치하는 놀이를 통해 지수귀문도를 체험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