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oryeong Office of Educationr
함께하는 특수교육, 아름다운 동행
고령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
Goryeong Office of Educationr
함께하는 특수교육, 아름다운 동행
고령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공지사항
-
2023 04.06
2023학년도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배치 절차 안내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배치 업무처리 절차 1. 특수교육대상학생 신규 선정·배치 신청 가. 선정·배치 절차 대상 학생진단·평가 의뢰서 제출 진단·평가의뢰서 접수 및 회부(즉시) 영아 및유·초·중학교보호자 또는 학교장➜ 해당 특수교육지원센터▶해당 특수교육지원센터 고등학교 대상 학생진단·평가 실시(30일 이내) 특수교육운영위원회 심의▶영아 및유·초·중학교해당 특수교육지원센터▶시·군특수교육운영위원회 고등학교 경상북도특수교육운영위원회 대상 학생선정·배치 결과 통지(2주일 이내) ▶영아 및유·초·중학교지역 교육지원청 고등학교도교육청 ※ 고등학교 및 교육지원청은 경북특수교육운영위원회 개최 일정은 Ⅴ. 특수교육 관련 행사 및 기타 행정사항 참고 나. 특수교육대상학생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 담당 기관구분진단·평가선정·배치영·유아초·중학교학생 주소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진단·평가 실시시·군특수교육운영위원회 심의 후지역 교육지원청에서 결과 통지고등학교경북특수교육운영위원회 심의 후도교육청에서 결과 통지 ※ 학생의 현재 주소지와 배치 희망교의 소재 지역이 상이할 경우 진단·평가는 주소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실시한 후, 배치 희망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로 관련 서류를 이관하여 선정·배치는 배치 희망 지역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심의 ※ 고등학생의 경우 학생의 현재 주소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진단·평가 실시 후 도교육청(교육복지과)으로 관련 서류를 이관하여 선정·배치는 경북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심의제출서류 및 서: [붙임 참고]문의 및 상담: 고령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950-2536~7)
-
2022 10.28
2022 독서감상화 온라인 작품 전시회
, , , ,, , , 독서감상화입니다.
-
2022 06.22
[홍보] 특수교육대상자 바로 알기
-
2022 06.22
2023학년도 상급학교 진학(취학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 배치 관련 서류
1. 2023학년도 상급학교 진학(취학포함)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 배치 계획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니 기한내 신청 바랍니다. 가. 신청대상 상급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서류접수일(2022. 8. 26. 기준) 현재 전 가족(보호자 포함)이 경상북도에 단독세대로 주민등록이 되어있고, 실제 거주하는 자를 의미함. 유 치 원 ◼ 2017. 1. 1. ∼ 2019. 12. 31. 사이 출생한 기배치 특수교육대상유아 (진급 재배치 포함) 또는 신규 특수교육대상유아 선정․배치 희망자 ※ 2023년 기준: 만 3세(2019년생), 만 4세(2018년생), 만5세(2017년생)초등학교 ◼ 2016. 1. 1. ∼ 2016. 12. 31. 사이 출생한 기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 또는 신규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배치 희망자 ◼ 2016. 1. 1. 이전 출생자 중 미취학자 및 취학의무 유예자중 학 교 ◼ 초등학교과정 졸업(예정)자 및 동등 자격이 있는 기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 또는 신규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배치 희망자고등학교 ◼ 중학교과정 졸업(예정)자 및 동등 자격이 있는 기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 또는 신규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배치 희망자 2. 신청기한: 2022. 6. 24.(금) 3. 신청서류: [붙임 2] 참고 4. 신청방법: -학교는 제출서류를 전자문서로 제츨 -전자문서 이용이 불가한 경우: 해당서식을 기한까지 우편 및 인편제출(보호자가 센터 직접 방문 제출시, 담당자와 일정 사전 조율 필수) 5. 기타문의: 고령교육지원청 1층 특수교육지원센터 (☏ 950-2536)

특수교육뉴스
-
2022 10.24
가족체험학습 『우리가족 추(秋)억만들기』 (2022. 10. 15.)
특수교육지원센터 ‘우리가족 추(秋)억 만들기’인권보호 위한 가족체험학습손정호기자등록 2022.10.21 16:02목록메일프린트스크랩글씨크기 크게글씨크기 작게 고령교육지원청(교육장 기세원) 특수교육지원센터는 지난 15일 장애학생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체험학습 ‘우리가족 추(秋)억 만들기’를 실시했다.이번 행사는 여가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장애학생가족들에게 화합과 소통의 시간을 제공해 가족 간 유대감 및 신뢰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인권보호에 기여하고자 마련됐다.참가 가족들은 지역사회 농촌교육농장 ‘봉이땅엔’에서 ‘딸기쿠키 만들기’, ‘커피나무 모종심기’, ‘고구마피자 만들기’ 등의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체험활동을 통해 풍요로운 가을날의 추억을 만들 수 있었다.기세원 교육장은 “가족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즐거워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며, “가장 작은 사회인 가정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나아가 또래와 이웃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손정호 기자
-
2022 10.21
특수교육대상학생 연합 현장체험학습(2022. 10. 7.)
경북교육신문 (gbedu.co.kr)2022-10-07 오후 5:53:16 입력뉴스>고령군고령교육지원청, 분홍빛 일렁이는 가을 체험학습2022 특수교육대상학생 연합 현장체험학습 실시 고령교육지원청(교육장 기세원)특수교육지원센터는10월7일(금)관내 초‧중‧고 특수학급을 대상으로‘2022특수교육대상학생 연합 현장체험학습’을 실시하였다. 칠곡 가산수피아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동식물 관련 생태학습을 통해 자연이 주는 이로움과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학생들은 먼저‘알파카랜드’에서 알파카의 생활모습을 관찰하고,먹이를 주며 쓰다듬는 활동을 통해 동물보호의 필요성을 체득할 수 있었다.또한 가산수피아의‘솔밭길’및‘핑뮬리언덕’을 산책하며 무르익은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었다. 체험에 참여한 한 학생은“바람에 흔들리는 핑크뮬리가 꼭 분홍빛 바다가 일렁이는 것처럼 보여 아름다웠다.”며“평소 잘 볼 수 없었던 다른 학교 친구들도 만날 수 있어 좋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기세원 교육장은“학교에서만 생활하던 학생들이 배움의 장을 학교 밖으로 옮겨 다양한 생태학습을 통해 자연친화적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
2022 10.21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 역량강화 연수(2022.9.27. ~ 9.28.)
고령교육지원청,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 역량강화 연수 - KNS뉴스통신고령교육지원청,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 역량강화 연수장세홍 기자승인 2022.09.27 17:45댓글 0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URL복사기사공유하기프린트메일보내기글씨키우기사진=고령교육지원청[KNS뉴스통신=장세홍 기자] 경북 고령교육지원청은 27일, 29일 교육지원청 3층 우륵홀 및 다산행정복합타운에서 &lsquo2022학년도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 역량강화 연수&rsquo를 실시한다.이번 연수는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를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진학 및 진로 관련 정보와 고령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색사업을 소개하고, &lsquo라탄공예&rsquo 체험활동을 통한 학부모의 자기 성장 기회 제공 및 학부모들 상호간 자율적 소통 및 협력체계 구축을 지원하고자 마련됐다.이번 연수에 참여한 학부모는 “라탄공예를 배우면서 특수교육을 받는 자녀를 둔 다른 학부모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힐링이 되고 작품의 활용도와 만족도도 높아 유익하고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고 말했다.기세원 교육장은 “앞으로도 특수교육대상학생 학부모에게 자녀교육 정보의 장을 제공하고, 특수교육관련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의미있는 학부모연수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장세홍 기자 jsh953@kns.tv저작권자 © KNS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22 10.21
2학기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2022. 9.22. ~ 10.14.)
http://www.dkitnews.com/247895고령교육지원청, 2학기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 운영생각을 바꾸면 보여요!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백두산 기자 | 기사입력 2022/09/22 [23:54][다경뉴스=백두산 기자]고령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관내 특수학급 미설치교를 대상으로&lsquo2학기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rsquo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장애에 올바른 인식 함양을 통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긍정적 관계를 증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들은 장애인 이동권 관련 주제를 화두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해결책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장애인권 및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시각장애 및 지체장애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경험 위주의 실질적 교육이 이뤄지도록 했다.교육에 참여한 우곡초 학생은 “뉴스에서 본 장애인단체의 시위를 그저 불편하게만 보았는데, 그 이면에 그들에 대한 차별과 무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장애체험을 해보니 힘든 상황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장애인들이 대단하게 느껴졌고 앞으로 장애를 가진 친구를 만나면 나의 불편보다는 그들의 권리에 대해 먼저 생각해볼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기세원 교육장은 “이번 학교로 찾아가는 장애이해교실을 통해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공동체 역량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장애인권을 존중하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