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홈 유초등교육과구)묻고답하기

구)묻고답하기


구)묻고답하기 게시판 상세보기 테이블
경상북도교육청의 유학휴직, 고용휴직, 파견휴직 등에 대한 제한 정책에 대하여
작성자 권**
등록일 2025.05.16
유초등교육과

안녕하십니까?


경상북도교육청이 2016년부터 유학휴직, 고용휴직, 파견휴직 등 청원휴직을 전면적으로 제한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해당 정책의 주된 이유로 “교원 수급의 어려움”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증상에 대한 일시적 대응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이러한 제한이 장기적으로는 역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재고 부탁드립니다.


경북교육청은 타 시도교육청에 비해 신규 교원의 지원율이 낮고, 재직 중인 교사들 중에서도 타 시도로 이동하고자 하는 교사가 다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교사 개인의 전문성 개발 기회 부족이라고 봅니다.


해외 유학, 교원대 대학원 파견, 재외 교육기관 파견 등은 교사가 전문성을 심화하고, 새로운 교육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타 교육청에서는 허가하는 이러한 기회를 경북교육청에서 계속 차단하면, 교사의 직업 만족도와 소속감이 저하되며, 우수 인재의 유입은 줄어들고 유출은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한편 경북은 농어촌 비중이 높고, 대도시에 비해 석박사 진학 등 수준 높은 연찬 및 연구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이런 지역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외부의 경험과 학문적 기회를 제공하는 유학휴직, 고용휴직, 파견휴직은 장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컨대, 타 교육청에서는 해외 유학, 교원대 대학원 파견, 재외 교육기관 파견등을 통해 배움을 확장하고, 이후 그 경험을 현장에 환류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이고 있습니다.


교원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이유로 청원휴직을 원천 봉쇄하는 것은, 단기적인 대처에 불과하며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교원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육성하고, 교사 개개인의 역량 강화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교육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우수 인재 유입을 촉진하며, 지역의 교육 질을 높이는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경북교육청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위 정책을 재검토하여, 교사들의 전문성과 역량 개발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고, 학생들이 수준 높은 교육을 향유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구)묻고답하기 게시판 상세보기 테이블
[RE]경상북도교육청의 유학휴직, 고용휴직, 파견휴직 등에 대한 제한 정책에 대하여
작성자 유** 등록일 2025.05.19

경북교육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제안하신 사항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경상북도교육청은 2016년부터 교원 수급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의 학습권 보호와 안정적인 학교 운영 등의 이유로 유학휴직, 고용휴직, 파견휴직 등 청원휴직을 불허하고 있습니다.


최근 학생 수 감소로 인해 교육부에서 교원 정원을 줄이고 신규교사 선발을 제한하고 있어서, 학교 현장에서는 교원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으며, 기간제교사 증가로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교육부의 정규 교원 감축에도 불구하고 우리 교육청은 교원 배치 기준은 그대로 유지하여 학생의 학습권 보호 및 학교교육과정 정상화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2024학년도에는 행정기관에 파견된 초중등 정규 교원을 원적교로 재배치하는 등 학교 현장의 부족한 교원 정원을 보충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힘쓰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으로 연수·유학·파견휴직은 현재 교원 수급 사정으로 허용하기 어려우나, 향후 교원 수급이 원활할 경우 긍정적으로 검토하여 허용할 예정입니다.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자기 연찬에 노력하려는 선생님의 자세에 경의를 보내며, 변함없이 따뜻한 경북교육을 위해 힘써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답변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경우 경상북도교육청 유초등교육과 054-805-3333으로 전화주시면 친절히 안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