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 단계
|
- 1. 학교교육과정위원회 조직과 편성 계획 수립 교원,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참여
- 2. 교육과정 편성 기준과 운영 지침의 내용 분석
- 교육부, 경상북도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경상북도교육청의 교육시책, 지표, 방향
- 3. 각종 실태 조사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 기초 조사: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교원, 학교 교육시설 등
- 4. 학교교육과정편성의 기본방향 설정
- 경영철학, 경영방침, 교육목표
- 특색교육 내용 선정
- 교과별 교육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학년별 중점 교육활동 계획
- 교원, 학생, 학부모 의견 수렴
- 학교 장·단기 발전계획 수립
|
편성 단계
|
- 5. 학교교육과정 시안 작성(예산안과 연계)
- 가. 학교교육과정편성 시안 작성
- 편제, 시간 배당, 수업 일수, 시간 수 결정
- 교과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연간 운영 계획 수립
- 교육과정 운영 취약시기(12월, 2월)의 학사 운영 정상화를 위한 탄력적인 교육과정 편성
- 나. 교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
- 교과별 지도 목표 설정 및 교과 지도 시간 조정
- 학생 수준을 고려한 교육 내용 재구성: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마련
-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적정 예산 책정
- 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
- 라.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업무 지원 계획: 교육과정 중심의 업무지원팀 운영
- 6. 학교교육과정 시안의 심의 및 확정
- 학교 교육과정 시안 심의 및 분석 검토
- 추출된 문제점을 반영한 시안의 수정·보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