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학비 지원
주요내용
1. 지원대상
가. 자부담으로 통학하고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 및 보호자
-
원거리 거주에 따라 도보 통학이 불가하여 자비로 통학하는 학생
-
유·초: 시내버스 2구간 이상 통학하는 경우
-
중·고: 편도 2km 이상 통학하는 경우
-
농·산·어촌의 경우 1구간 이내라도 원거리는 지원 가능
-
근거리 거주자(2km 이내) 중 중증 장애로 인해 차량을 이용하여 통학하는 학생
※ 중증 장애에 따른 근거리 거주자 통학비 지원 여부는 개별화교육지원팀에서 판단
-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스스로 통학할 수 없어 통학을 지원(동행)해야 하는 보호자
나. 지원제외대상
-
도보 통학이 가능한 거리에서 자가용을 이용하여 통학하는 경우
-
통학버스 이용 및 통학버스 경유 지역에 거주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
-
통학버스 이용요금을 납부하는 경우 지원 가능
-
통학버스 탑승 장소까지 별도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 지원 가능
(유·초: 2구간 이상 / 중·고: 2km 이상)
-
기숙사 거주 학생
-
월·금요일 등 기숙사 거주 외 등·하교에 따른 통학비는 지원
-
유치원생(보호자가 통학 동행 시 보호자만 지원 가능)
-
시·군 자치단체 등에서 통학비 및 통학차량을 지원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여 본인부담금만 발생하는 경우 지원 불가
-
본인부담금을 제외하고 별도의 실비를 활동지원사에게 지급하는 경우 지원 가능(비용 지급에 대한 증빙서류 필요)
-
시·군 자치단체 보조금 및 후원자 후원금으로 운영되는 시설 기숙 학생
-
보호자가 경비를 부담하여 시설에 기숙하는 학생은 지원 가능
-
실제 통학비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
-
원격수업 등으로 출석 인정은 되나 실제로 통학하지 않은 경우 지원 제외
-
대중교통을 이용하지만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지원 제외
-
대중교통 및 자가용이 아닌 타 차량으로 통학하여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지원 제외
-
위 제외 대상에 해당함에도 통학비를 지원하여야 하는 타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개별화교육지원팀 협의를 거쳐 지원 가능
2. 지원기준 및 지원 절차
입학식
구분
|
대중교통 이용
|
자가용 이용
|
지원 기간
|
2023년 3월 ~ 2024년 2월
|
지원 일수
|
실제 통학비가 발생한 일수(190일 내외)
※ 방학(계절유치원 및 돌봄), 주말 제외
|
지원 대상
|
학생 및 보호자
|
보호자
|
지원 범위
|
대중교통 편도요금 기준
(학생 편도 1회: 900원)
- 학생: 1일 2회
|
대중교통 편도요금 기준
(보호자 편도 1회: 1300원)
- 보호자: 1일 4회
|
지원 금액
|
시내·외 버스 요금 (실비 기준)
|
추가 지원금
|
신청수업일수가 학교수업일수의 50% 이상일 때 통학하는 경우 해당됨
|
연 10만원 추가 지원
|
-10km 미만: 1일 2천원 추가 지원
-10km 이상: 1일 3천원 추가 지원
|
유의사항
|
-
무료 환승 여부 등 확인하여 부당 지원사례가 없도록 지원
|
-
근거리 거주(2km 이내) 보호자의 경우, 대중교통 편도요금 기준 1일 2회 한도로 지급
-
네이버 지도 이용하여 통학거리 정확히 계산
|
※ 기타 통학 수단 이용 시: 통학 수단 이용 및 요금에 관한 입증이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실비 지원(단, 대중교통 요금 기준 통학비 지원 한도 내)
※ 시외버스 및 시외구간 자가용 이용 시: 경북 내에서의 이동 및 경북 인접지역까지의 이동만 통학비 지원(단, 기숙사 입소 학생은 실비 지원)
나. 지원 절차
입학식
보호자
|
소속 학교에 통학비 지원 신청
(신청서<서식1>, 주민등록등본, 보호자 통장 사본)
|
↓
|
각급학교
|
① 대상자 협의·선정(개별화교육지원팀)
② 대상자 명단 제출 및 예산 신청
(유·초·중·고→ 교육지원청)
|
↓
|
도교육청(교육지원청)
|
제출 내역 검토 및 지원 확정, 예산 재배정/교부(1, 2차)
|
↓
|
각급학교
|
통학비 지원, 집행 결과 보고
(유·초·중·고→ 교육지원청)
|
3. 유의사항
-
통학비는 월별 또는 분기별로 보호자 통장으로 송금
-
통학비 지원 대상자의 신청 내용이 허위 또는 부적정하거나 중도에 지원을 중단할 만한 변동사유(거주지 이전, 전학 등)가 발생할 경우 해당 학교에서는 개별화교육지원팀 회의 등을 거쳐 지원 중단 및 지원액 환수 조치
-
통학비는 지원 대상자의 자격 취득 시기를 기준으로 일할 지급되며 특수교육대상학생 선정 전, 취소 후 통학비가 지급되지 않음
관련서식
서식-유특-7-4-3-1 특수교육대상학생 통학비 지원 신청서 및 대상자 명부
서식-유특-7-4-3-2 특수교육대상학생 통학비 지원 신청안내 가정통신문(예시)
관련규정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행복교육지원과
- 전화054-805-3276
- 담당자 업데이트일자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