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은 3개 영역(자율‧자치 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2025 교육과정은 4개 영역(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시간배당 및 운영 방법 결정
나. 자율‧자치 활동은 자율활동(주제탐구활동, 적응 및 개척 활동, 프로젝트형 봉사활동 등)과 자치활동(기본생활습관 형성 활동, 관계 형성 및 소통 활동, 공동체 자치활동 등)으로 구성
다. 동아리 활동은 학술‧문화 및 여가활동과 봉사활동 등으로 구성(2022 개정 교육과정 해당)
라. 봉사활동은 활동 성격에 따라 자율‧자치 활동, 진로 활동 영역에서도 운영 가능(2022 개정 교육과정 해당)
마. 진로활동은 진로 탐색 활동, 진로 설계 및 실천 활동 등으로 구성
3. 창의적 체험활동 평가
가. 교육과정 평가와 질 관리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준비, 편성, 운영, 결과의 측면에서 평가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결과는 차후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나. 학생 평가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 절차(예시)
1. 평가목표의설정
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적합하도록 평가 관점을 명료화
2. 평가 기준의 선정
평가 관점에 따라 평가 기준(참여도, 협력도, 열성도 등)을 선정
3. 평가 방법의 구체화
창의적 체험활동의 과정과 결과가 드러나도록 평가 방법을 구체화(포트폴리오, 상호 평가, 자기 평가 등)
4. 평가 실시와 평가 결과의 기록
학교생활기록부에 다음을 중심으로 기록
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프로그램(활동 내용)
학생의 행동 변화와 발전의 정도
학생의 개별 특기 사항 등
5. 평가 결과의 해석과 활용
결과의 피드백 및 차기 지도에 반영
학교생활기록부 창의적체험활동 기재방법
1. 근거
①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지침
② 2022학년도 경상북도 중고등학교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
2. 기재방법
(학교생활기록부 보조부 관리)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필요한 보조부(누가기록)는 각 학교의 실정에 맞게 계획을 수립하여 전산 입력·관리하되,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의 누가기록 및 관리 방법은 학교에서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정한다. 단, 전출시에는 현재까지의 각종 자료(창의적 체험활동, 행동특성 관련 누가기록 포함)를 전산입력 후 전입교에 전송한다. 이때 입력근거가 되는 증빙서류는 원적교에서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