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 영양관리
주요내용
1. 학교급식 영양관리 기준
학교급식 영양관리 기준성별 | 구분 | 에너지 (kcal) | 단백질 (g) | 비타민A (R.E.) | 티아민 (비타민B1)(㎎) | 리보플라빈 (비타민B2)(㎎) | 비타민C (㎎) | 칼슘 (㎎) | 철 (㎎) |
---|
평균 필요량 | 권장 섭취량 | 평균 필요량 | 권장 섭취량 | 평균 필요량 | 권장 섭취량 | 평균 필요량 | 권장 섭취량 | 평균 필요량 | 권장 섭취량 | 평균 필요량 | 권장 섭취량 |
---|
유치원생 | 400 | 7.1 | 66 | 85 | 0.12 | 0.15 | 0.15 | 0.17 | 10.0 | 12.8 | 142 | 170 | 1.5 | 2.0 |
남 | 초등학생 | 1~3학년 | 570 | 11.7 | 104 | 150 | 0.17 | 0.24 | 0.24 | 0.30 | 13.4 | 16.7 | 200 | 234 | 2.4 | 3.0 |
4~6학년 | 670 | 16.7 | 137 | 200 | 0.24 | 0.30 | 0.30 | 0.37 | 18.4 | 23.4 | 217 | 267 | 2.7 | 3.7 |
중학생 | 840 | 20.0 | 177 | 250 | 0.30 | 0.37 | 0.40 | 0.50 | 23.4 | 30.0 | 267 | 334 | 3.7 | 4.7 |
고등학생 | 900 | 21.7 | 207 | 284 | 0.37 | 0.44 | 0.47 | 0.57 | 26.7 | 33.4 | 250 | 300 | 3.7 | 4.7 |
여 | 초등학생 | 1~3학년 | 500 | 11.7 | 97 | 134 | 0.20 | 0.24 | 0.20 | 0.27 | 13.4 | 16.7 | 200 | 234 | 2.4 | 3.0 |
4~6학년 | 600 | 15.0 | 130 | 187 | 0.27 | 0.30 | 0.27 | 0.34 | 18.4 | 23.4 | 217 | 267 | 2.7 | 3.4 |
중학생 | 670 | 18.4 | 160 | 217 | 0.30 | 0.37 | 0.34 | 0.40 | 23.4 | 30.0 | 250 | 300 | 4.0 | 5.4 |
고등학생 | 670 | 18.4 | 150 | 217 | 0.30 | 0.37 | 0.34 | 0.40 | 26.7 | 33.4 | 234 | 267 | 3.7 | 4.7 |
- 가. 학교급식의 영양관리 기준은 한끼의 기준량을 제시한 것으로 학생집단의 성장 및 건강상태, 활동정도, 지역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적용
- 나. 영양관리기준은 연속 5일씩 1인당 평균 영양공급량을 평가
- 1) 에너지는 학교급식의 영양관리기준 에너지의 ±10%
- 2)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에너지 비율 55~65%: 7~20%:15~30%
- 3) 단백질은 학교급식 영양관리기준의 단백질량 이상으로 공급하되, 총 공급에너 중 단백질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지 않도록 함
- 4)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철은 학교급식 영양관리기준의 권장섭취량 이상으로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최소한 평균 필요량 이상이 어야 함. (학교급식법 시행규칙 제 5조 제 1항 관련 별표 3)
2. 영양기준량 등록
- 식단 구성전 나이스 급식 영양기준량 조회 및 자체 영양기준량 등록
- 메뉴경로 : [ 신규급식 – 급식관리 – 학교기본정보등록 – 자체영양기준량등록 ]
3. 영양기준량 확인
4. 학교급식 영양관리
- 가. 곡류 및 채소류 과일류 어육류 콩류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 사용
- 나. 염분 유지류 단순당류 등 과다사용 제한
- 다. 가급적 자연식품과 제철식품을 사용하고 다양한 조리방법 활용
- 라. 쇼트닝 마가린 등 트랜스 지방이 포함된 식품제공 최소화
- 마. 학교급식 영양관리 기준은 학생들의 신체활동 정도, 학생집단의 건강 및 성장, 지역적 상황을 고려하여 실태조사등을 통하여 해당 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법령에서 제시한 기준량 이상으로 설정 운영할 수 있음.
5. 학교급식 영양표시제 이행
메뉴경로: [ 신규급식 – 급식관리 - 식단관리 – 학교급식영양표시제 ]
- 가. 학생들에게 영양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여 각자 식생활 관리 능력 함양
- 나. 식생활 교육관, 각 교실에 식단별 주요 영양량 게시, 가정통신물 및 학교 홈페이지게시
6. 학교급식 나트륨 및 당류 저감화 운영계획 수립
- 가. 나트륨 및 당류 저감화 계획을 학교급식 운영 계획 등에 반영 수립
- 나. 저염식단 제공 및 나트륨 줄이기 등에 대한 교육 실시
- 다. 국 자유의 날 운영 및 국 염도 0.6%~0.7% 수준으로 단계적 저감화
- 라. NEIS 급식 시스템 식단작성 프로그램에 나트륨 함유량 산출
- 마. 정책 목표: 초등학교 900mg, 중학교 1000mg, 고등학교 1300mg, 평균 1067mg 수준 또는 이하로 저감화 추진(2020 경북 학교급식 기본방향)
관련규정
학교급식의 영양관리 기준 학교급식법 시행규칙 제 5조
학교급식법 시행규칙 제7조(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 시행)
감사대비 점검사항
영양상담 프로그램 운영 기록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체육건강과
- 전화054-805-3472
- 담당자 업데이트일자2025-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