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PS 및 건강체력 교실 운영
주요내용
1. 측정 목적: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내실 운영을 통한 건강체력 증진
2. 측정 의무: 정확한 측정을 통한 체력 수준 진단 및 측정결과, 운동처방 등 안내
3. 측정 대상: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체력검사 실시
4. 측정 종목: 체력 요소별로 1개의 검사항목을 선택하여 실시
5. 측정 시기: 매 학년 초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선택평가는 해당 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검사주기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실시
< 필수평가 – 매 학년도 실시 >
필수평가 – 매 학년도 실시체력요소 |
---|
심폐지구력 | 유연성 | 근력·근지구력 | 순발력 | 비만 |
---|
왕복 오래달리기 오래달리기-걷기 스텝검사 |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종합유연성검사 | 팔굽혀펴기(남) 무릎대고팔굽혀펴기(여) 윗몸말아올리기 악력 | 50미터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 체질량지수(BMI) |
< 선택평가 – 학교장 결정 >
선택평가 – 학교장 결정검사항목 |
---|
심폐지구력정밀평가 | 비만평가 | 자기신체평가 | 자세평가 |
---|
심박수 측정기세트 활용 | 체지방 측정기 활용 | 자기기입식기록지 활용 | 자세평가 보조도구 활용 |
6. 평가결과의 기록: 학생신체능력검사 결과는 교육정보시스템(NEIS)에 입력하여 학생·학부모가 조회할 수 있도록 관리
7. 학생건강체력평가 내실 운영: 저체력 학생(PAPS 4·5등급)의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학생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 필요
- 가. (운영 대상) 저체력 학생 및 비만학생
- 나. (환경 제공) 체력증진 관련 정보 게시, 체력 향상 구역 운영, 신체 활동 공간 재구성 등 건강체력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학생 스스로 자발적 참여 유도
- 다. (측정 내실화) 교내대회 운영 및 우수학생 표창, 수업 연계, 국민체력 100 사업 연계 건강체력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동기를 높이고, 사후 기록 관리 및 처방 제공 등을 통해 건강체력검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 제고
8. 결과보고: 각급 학교는 나이스 통계처리하여 해당 학기말에 교육청 전송

- 1단계: 측정 마감
- 2단계: PAPS 통계생성
- 3단계: 기안문 작성 및 학교장 결제
- 4단계: 교육청 전송
9. 건강체력 교실 운영: 저체력 학생(PAPS 4·5등급)의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학생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 이 시급한 상황
- 가. (운영 대상) PAPS 측정결과 저체력(4~5등급) 또는 비만판정을 받은 학생
- 나. (운영 방법) 매년 학교별로 건강체력 교실 운영 계획을 수립 후 전반기 PAPS 정시 측정 후 대상자에 한하여 연중 상시 운영
- 다. (측정 내실화) 교내대회 운영 및 표창, 수업 연계 등 건강체력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동기를 높이고, 사후 기록 관리 및 처방 제공 등을 통해 건강체력검사에 대한 학생의 인식 제고
관련서식
[서식-중등-7-13-3-1] OOO-0000 PAPS 측정계획(예시)[서식-중등-7-13-3-2] OOO-0000학년도 건강체력교실 세부 운영계획서(예시)
감사대비 점검사항
-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실시 방법의 적합성 여부
- 체력 요소별로 1개의 검사항목을 선택하여 매 학년 초에 실시, 선택평가는 해당 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검사주기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
- 학생건강체력 평가제는 초5~고3학년을 대상으로 여건을 고려 수시평가(4월~5월 중), 연 1회 정기평가(10월 중)실시
-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결과 개인별 결과 출력 제공 여부
- 저체력(4~5등급) 종목에 대해 개인별 맞춤형 운동처방
- 건강체력교실 운영 의무화 여부
- 학생건강체력 평가 결과는 학생, 학부모가 조회할 수 있도록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