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교육과정이 가지는 장점, 단점, 장려해야 할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이며, 또 그것은 어떤 가치를 지녔는지를 자체적으로 점검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질적 관리를 도모
| 영역 | 세부 영역 | 준거 | 
|---|---|---|
| 
 운영 및 연구 활동  | 
 학교교육과정 위원회의 구성과 활동  | 
 학교교육과정 위원회 구성원의 균형성, 위원회 운영의 적절성 관계자 의견 수렴을 위한 노력의 적합성 등  | 
| 
 편성과 개선을 위한 연구 활동의 적절성  | 
 학교교육과정 편성, 개선을 위한 현장 연구의 충실성,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연구 활동의 적절성 등  | 
|
| 
 기본 계획평가  | 
 학교 교육 목표의 적절성  | 
 내적 일관성, 독창성, 실현 가능성 및 학교 교육 목표에 대한 구성원의 인지도와 공감도 등  | 
| 
 학교교육과정 편제의 타당성  | 
 법정 수업 일수와 시수의 확보, 교과목 편성의 균형성, 교과외 활동의 균형성, 인성 교육에 대한 계획과 실천의 적절성, 학교교육과정 문서의 충실성과 활용 가능성, 학교 특색 프로그램 설정을 위한 노력의 적절성 등  | 
|
| 
 교과 교육과정 운영 평가  | 
 교과별 교육과정 계획의 타당성, 교과 수업의 충실성, 교과 평가 활동의 적절성, 교과 학습 성취도 등  | 
|
| 
 창의적 체험활동의 편성·운영 평가  | 
 지도 계획, 지도 과정이나 방법, 집단의 변화·발전에 대한 내용 등  | 
|
| 
 지원 체제의 평가  | 
 
 
  | 
| 구분 | 평가지표 | 
|---|---|
| 
 준비  | 
 
 
  | 
| 
 실행  | 
 
 
  | 
| 
 환류  | 
 
 
  | 
| 구분 | 특징 | 
|---|---|
| 
 시기  | 
 
 
  | 
| 
 계획  | 
 
 
  | 
| 
 내용  | 
 
 
  | 
| 
 방법  | 
 
 
  | 
| 
 환류  | 
 
 
  | 
| 구분 | 특징 | 
|---|---|
| 
 설문  | 
 
 
  | 
| 
 통계  | 
 
 
  | 
| 구분 | 특징 | 
|---|---|
| 
 협의회  | 
 
 
  | 
| 
 토론회  | 
 
 
  | 
| 
 관찰및면담  | 
 
 
  | 
교육과정 운영 평가 및 환류(개선)의 적정성 여부
[서식-초등-2-1-7-1] 학교교육과정 평가 문항 자료[서식-초등-2-1-7-2] 학교교육과정 평가 자료(업무별 평가)[서식-초등-2-1-7-3] 학교교육과정 평가 자료(부서별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