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진행 순서도
① 진단 및 원인분석 → ② 지원 계획 수립 및 개별 맞춤형 지원
진단 및 원인 분석
주요내용
1. 전년도 기초학습, 교과학습 부진학생의 지도 결과 및 구제 여부 확인
2. 기초학력 진단검사 실시
- 가. 대상: 도내 전 초등학교 2학년 ~ 6학년
- 나. 시기: 3월 중 실시
- 다. 검사 영역: 초3학년 – 읽기, 쓰기, 셈하기 / 초4~6학년: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라. 그 외 수시 검사: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http://www.basics.re.kr ) 및 기초학력진단보정시스템( https://glms.gyo6.net ) 자료 활용
- 마. 초등학교 1~2학년 기초학력 진단검사: 기초국어 및 기초 수학(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 개발 3R’s 문항 활용)
3. 기초학력 향상도 검사 실시
- 가. 학생 성장 중심 학습이력 관리 시스템 운영
- 나. 대상: 초등학교 4학년 ~ 6학년 중 학습지원대상학생(필수 참여) 및 경계선상 학생(담임 판단하에 권장)
- 다. 영역: 5개 교과
- 라. 시기: 1차-6월(전년도 교육과정), 2차-9월(전년도 2학기, 당해연도 1학기) 3차-12월(당해연도 교육과정)
- 마. 1차 통과 학생도 3차까지 연속으로 응시 및 보정 지도 실시
- 바.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https://glms.gyo6.net/pt/index.do) 보정자료 활용
[ 기초학력 진단-보정 프로세스 ]
- 진단(3월)
- 기초학력 미도달 또는 교사 추천 시 보정 후 향상도 진단
- 보정
- 기초학력 미도달 또는 교사 추천 시 보정 후 향상도 진단
- 1차 향상도(5월)
- 보정
- 2차 향상도(9월)
- 보정
- 3차 향상도(11월)
4. AI기반 진단-예방-보정의 선순환적 수시 진단
- 가. 목적: 학습부진 예방, 맞춤형 자료 제공
- 나. 대상: 초등학교 1~6학년
- 다. 방법: 학급 단위 혹은 가정에서 학생 자율적 진단(수시)
- 라. 진단도구
관련규정
초·중등교육법 제28조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54조
기초학력 보장법 제7조
기초학력 보장법 시행령 제6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