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방과후학교 운영프로그램 수요 조사(학생, 학부모) → ②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 수립 → ③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자문 → ④ 강사모집 → ⑤ 프로그램 안내 및 수강생 모집 → ⑥ 프로그램 강사 선정 및 계약체결 → ⑦ 프로그램 운영(수강료 징수 및 선수납) → ⑧ 프로그램 강사비 지급 → ⑨ 운영 평가 → ⑩ 결과 공개 및 환류
계획 및 준비(사업부서)
주요내용
1. 기초조사(학교 및 지역사회 실태 조사, 학교교육계획서 활용 가능)
생활수준, 시설, 인적자원 등의 여건 파악
학교, 교원, 학생 및 학부모 등의 실태 분석
2.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 수립: 학교 및 지역사회 여건에 따라 추진계획 수립
프로그램, 강사선발 계획, 홍보 및 평가 계획, 예산 등
3. 프로그램 수요조사 및 의견 수립(연중)
가정통신문, 홈페이지, 학부모회 등 홍보
교원, 학생, 학부모 등 의견 수렴
4.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수강료(강사료, 수용비, 도서구입비, 재료구입비)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 자율로 결정하되 수익자부담을 원칙으로 함
수강료는 사교육 시장보다 저렴하게 책정하며, 소득공제의 대상이 된다.
강사료는 프로그램 특성과 지역의 여건에 따라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자문)를 거쳐 학교장이 결정
수용비[학교 시설 사용료(전기료, 냉난방비 등), 인쇄 등 최소 필요경비 등]는 수익자부담. 수강료 내에서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결정(2025기준 수용비는 강사료의 5% 이내)
5. 강사 모집
방과후학교 강사 인력풀, 교육지원청·단위학교 홈페이지 등 활용
강사 모집: 범죄경력 조회, 채용신체검사서, 원어민강사 자격 요건 등 필수 서류 반드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