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홈 초등교무학사보건교육학교 건강증진관리 계획학교 건강관리 및 증진 계획 수립

학교 건강관리 및 증진 계획 수립


학교 건강관리 및 증진 계획 수립

주요내용

1. 기본방침
  •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발달 지원을 위한 건강증진 활동 등 건강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관리
  • 학생 개개인의 태도와 습관을 변화시켜 평생 건강의 기틀을 마련하고, 각종 질병을 예방하여 건강하고 명랑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
2. 현황
  • 시력·구강검사 현황(표본학교 대상)
보건(교육)실 시설 및 기구 확충 현황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1학년

4학년

1학년

1학년

시력

검사 인원(명)

500

524

721

844

2,589

교정 대상(%)

257

169

114

8

24.3

교정한 학생(%)

183

177

129

5

36.0

구강

검사 인원(명)

505

525

721

847

2,598

부정교합(%)

18.6

24.2

31.2

36.6

29.1

치아우식증(%)

7.8

14.9

19.6

19.4

18.2

  • 학생 건강검사 결과 시력이상 및 구강질환 학생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 2024년도 1·4학년, 중·고 1학년 학생 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교정한 학생(36.0%) > 부정교합(29.1%) > 교정 대상 (24.3%) > 치아우식증(18.2%) 순으로 높게 나타남

  • 비만·저체중 현황(전체학교 대상)
보건(교육)실 시설 및 기구 확충 현황

구분

검사 학생수(명)

정상(%)

저체중(%)

비만군율(%)

과체중

비만

113,359

62.6

4.7

12.0

20.6

37.3

59,696

64.8

3.6

11.6

20.0

35.2

61,219

62.2

5.1

10.8

21.9

32.8

특수

1,130

42.8

13.7

9.8

33.6

57.2

235,404

63.0

4.6

11.6

20.9

37.0

  • 과체중 학생은 전년대비 0.1%p 감소한 11.6%이며, 비만 학생은 0.3%p 감소한 20.9%로 특수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순으로 높게 나타남
3. 학생 건강관리 및 증진 추진방향

가. 학교 구성원 참여 및 지역사회 연계 건강증진활동 추진

  • 학교 건강문제에 대한 진단을 통해 해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많은 학교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건강증진활동 추진
    • 특정업무 담당자에게 업무가 편중되지 않도록 업무분담을 통해 모든 구성원의 참여 독려
  •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생 건강관리 강화
    • 학생 건강관리를 위하여 학교와 보건소와 연계하여 다양한 건강관리 사업 추진(구강보건, 체중관리, 흡연 등 약물오남용 예방, 감염병 예방관리 등)
    • 기타 지역사회 유관기관 연계 협조체계(병의원, 성문화센터, 심폐소생술교육기관 등)
    • 교육지원청 및 각급 학교와 자치단체간의 상호 협조체계 구축

나. 건강한 체중관리

  • 학생 비만관리홈페이지 ‘아이날씬(http://inalssin.info.go.kr)’을 적극 활용하여 비만학생 및 저체중 학생에 대한 상담, 식사 및 운동방법 지도
    • 도교육청 홈페이지 및 경상북도교육행정포털(www.info.go.kr)과 연계 운영
    • ‘아이날씬’ 지침서 및 학습지도서 수업 보조자료로 활용(아이날씬/자료실/학습자료)
  • 건강증진 중심학교는 반드시 건강한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운영
    • 학교별 체중관리 상담실 등 운영
  • 건강한 체중관리 운영 관련 전시회 등 다양한 행사 개최

다. 학생 시력관리 학생건강검사계획 참고

  • 학생 시력저하 예방 교육 강화
    • 학교와 가정에서 근시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교육 실시(올바른 자세, 스마트폰 사용, 식생활 등)
  • 각급 학교별 시력저하 예방 관련 행사 실시(예: - 매년 10월 둘째주 목요일 ‘눈의 날’ 행사, 보건주간 행사 등)
  • 학생건강검사 결과 시력이상아 및 기타 안질환 대상 정기검진 안내(년1회 이상)
  • 각급 학교 조도 관리기준 준수
    • 채광(자연조명) 및 조도(인공조명)에 의한 눈부심 발생 억제
    • 실내마감(창 면적 변경, 유리 교체, 차양 설치 등) 유지 관리, 조명설비 청소, 조명기구 교체 등 실시

라. 학생 구강관리 학생건강검사계획 참고

  • 구강보건 교육 실시(바른 칫솔질 등)
  • 보건소와 연계한 구강관리 강화
    • 구강검진, 교육상담, 예방진료, 치아홈메우기, 불소도포, 불소용액양치사업 등
    • 치면 세균막 검사 
  • 구강보건 관련 행사 실시(포스터, 글짓기, 건치아동선발 대회 등)

마. 심장질환 학생 관리 요양호아동관리계획 참고

  • 선천성 심장병 및 후천성 심장병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로 건강증진 도모
  • 매년 심장질환 유증상 학생 무료검진 실시로 이상자 발견 시 정밀진단 후 수술 지원
    • 대상자: 유치원, 초·중·고등학생 중 심장병 의심자
    • 수술대상자에 대한 수술비 지원 및 심장재단 및 도교육청 난치병 학생 의료비 지원 안내

바. 소아당뇨(제1형당뇨) 학생관리 요양호아동관리계획 참고

  • 당뇨병 학생 지원 가이드라인('19.9.23, 교육부), 「학교보건법」 제15조의2 신설, 2018.5.29. 시행
  • 학생건강검사(건강조사)시 소아당뇨 학생 재학여부를 조사하고, 교육(지원)청 보고
  • 학교장은 담임, 보건, 영양, 체육교사 등 필요한 지원방안을 마련·시행하도록 조치
  • 소아당뇨 학생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실시
  • 보건교사 직무연수 시 간호실습 교육을 포함하여 실시

사. 아토피·천식 등 관리

  • 환경성 질환에 민감한 성장기 학생들의 장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의 예방관리는 매우 중요
  • 아토피·천식을 예방할 수 있는 친환경 시스템을 제공하고, 질환자에 대한 악화방지 및 치료관리를 위한 지역 의료시스템과의 연계구축
  • 학생 건강관리 강화를 위한 보건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강화

아. 학생 건강정보센터 홈페이지 활용(http://www.schoolhealth.kr)

  • 교육부에서 구축·운영하는 ‘학생건강정보센터 홈페이지’ 활용하여 다양한 건강정보 제공 및 전문적인 컨설팅 역할 추진
  • 각급 학교 및 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 학생건강정보센터 배너 탑재 및 관련자료 공유, 활용

자. 보건업무 담당교사 지정·운영

  • 보건교사 미배치 학교의 평상 시 보건업무 수행은 보건업무 담당교사 연수 이수자 또는 관련교과 교사를 보건업무 담당교사로 지정, 업무를 담당
  • 보건교사 부재 시 대책 강구
    • 보건교사가 출장 등으로 부재 시 응급처치 대책을 위한 구급 대체 요원 지정 및 학교의사·학교약사를 포함한 응급환자 후송 등 비상 연락 체계 구축
  • 각급 학교에서는 「학교보건법」제15조에 의거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의료인과 약사를 둘 수 있음

관련서식

[서식-초등-5-2-2-1] 학생 건강관리 및 증진 계획(예시)

관련규정

2025학년도 학생건강관리 기본방향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체육건강과
  • 전화054-805-3462
  • 담당자 업데이트일자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