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홈 초등교무학사보건교육학교 성교육양성평등교육 계획수립 및 실시

양성평등교육 계획수립 및 실시


양성평등교육 계획 수립 및 실시

주요내용

1. 목적
  • 일상 속 우리 사회의 성평등 의식 수준 제고 및 성평등 제도 개선에 적극적 참여
  • 학교 실정에 맞는 계획 수립으로 양성평등교육 활성화에 기여
2. 추진 방침
  • 교육과정 관련 부서와의 협조체제 구축
  • 양성평등 문화 조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환경 조성
  • 양성평등과 관련한 교원의 전문성과 학부모 자녀교육 역량 강화
  • 양성평등 확산을 위한 사회적 시스템 구축·운영
3. 유형별 교육 내용 및 법적 근거
  • 양성평등한 학교 문화와 인프라 조성
    • 학교 규칙과 학생생활 규정에서의 양성평등

      학교별로 학교 생활규정 제정 또는 개정: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민주적 합의 절차를 통해 학교 생활 규정 중 양성불평등한 부분은 개정하도록 한다.

    • 양성평등한 학교 운영 현황 조사 및 개선
    • 양성평등한 학교 시설 및 환경 구축(화장실, 탈의실 등)
  • 학생의 양성평등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 학교 교육목표에서의 양성평등 실현(*학교 교육목표 확인)
    • 양성평등 교육의 행·재정적 지원
    • 양성평등 교육 활동 활성화
    • 학생의 양성평등 교육 만족도 조사
  • 학교구성원의 양성평등 의식 제고: 교직원, 학부모의 양성평등 의식 제고
4. 예산 편성 및 집행 계획 수립 (양성평등교육 및 성교육 관련)
  • 예산금액: 학교당 1,500천 원을 학교기본운영비로 편성(2022년 학교회계 편성 지침)
  • 예산집행: 자료제작 및 구입, 학생 참여 행사경비, 교원(관리자 포함) 및 학부모 연수 경비 등
  • 성교육 관련 예산 확보
    • 학교예산에 사전 편성: 자료제작 및 구입, 학생 행사 경비, 교원 및 학부모 연수 경비 등
    • 학교기본운영비로 학교당 1,500천 원 편성(*2022 학교회계 편성지침 안내)
    • 2023 공립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 지침(153쪽)
    • 500명 이하: 1,000
    • 501~1,000명 이하: 1,500
    • 1,001명 이상: 2,000
5. 양성평등교육 추진 활성화

가. 교직원 대상 연수 강화

  • 전체 교직원 대상 양성평등(성인지교육) 연수 실시: 온·오프라인 연수
  • 양성평등교육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양성평등 의식 제고

나. 교과서 및 교육과정의 양성평등교육 강화

  • 학교 자체적으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교과 교육계획서 수립’ 시 양성평등교육 반영
  • 양성이 평등한 학급운영, 학생회 활동, 동아리 활동, 생활지도, 진로지도 등으로 양성평등교육 강화
  • 초등 교육과정의 양성평등 체육활동 참여 확대(예: 여성 특화 스포츠클럽 활동 등)

다. 양성평등 실천 생활화를 위한 다양한 행사 개최

  • 양성평등 교육주간 운영
    • 학교 전광판, 홈페이지 팝업 등으로 양성평등 자료 탑재
    • 학교 실정에 맞게 다양한 교육·행사 실시: “양성평등”을 주제로 하는 글짓기 등 문예 행사 실시
    • 연 1회 이상 학급회 또는 학생회에서 “양성평등” 주제로 회의 개최

라. 학생 대상 양성평등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 실시

  • 교과에서의 양성평등교육(도덕, 실과, 국어, 보건 등)
  • 비교과에서의 양성평등교육(창의적 체험 활동 등)

    양성평등 교육 자료 참고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수준(중고 보건). [에듀넷티클리어/교육정책/교육과정/성취수준]
    • 초·중등 양성평등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활용방안. [학생건강정보센터/신체건강/성과건강 261번]
    •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폭력 예방 교수학습자료(초·중·고등학생용), [경북교육청/학생생활과/자료실]
    • 「슬기로운양성평등생활」웹콘텐츠, 경북교육청 학생생활과 -14515(2020. 9. 17.)
    • 2023학년도 양성평등교육 동영상자료 및 교수학습과정안, [경북교육청/정보마당/통합자료실]
    • 초·중등 양성평등 학교문화조성을 위한 교사용 교육자료 안내, [경북교육청/학생생활과/자료실]
    • (초·중등) 디지털 성폭력 예방을 위한 성인지 감수성 교육자료 안내, [경북교육청/학생생활과/자료실]
    • 초·중등 양성평등교육 영상 안내서, [경북교육청/학생생활과/자료실]
    • 중·고등 양성평등 활동지 ppt, [경북교육청/학생생활과/자료실]
    • 초등 양성평등 활동지 및 교수학습과정안, ppt, [경북교육청/학생생활과/자료실]
    • "교원전용 디지털 콘텐츠플랫폼잇다(ITDA)" [https://itda.edunet.net(이용시 에듀넷 회원가입 필수)] 

마. 학부모 대상 양성평등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 실시

  • ‘학교 교육과정 설명회’ 시 학부모 교육 실시(학부모 교육 연 1회 이상 실시 권장)
  • 학교 소식지 및 가정통신문을 통한 교육
  • 학교 홈페이지 등에 관련 자료 탑재
6. 실태 조사 및 분석: 만족도 조사
  • 교직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가 양성평등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조사하여 그 결과를 기 초로 조치 및 계획수립 ·활용·점검
  • 양성평등교육 만족도 조사 및 자체 점검 결과 제출
    • 목적: 학교 양성평등 자체 점검 결과를 차기 연도 교육계획 수립 시 반영
    • 내용: 양성평등교육 운영 현황 설문조사 및 학생 만족도 조사
    • 양성평등교육

      구분

      운영현황 설문조사

      학생 만족도 조사

      대상

      교직원

      전원

      1개 학년만 실시
      (초 5학년 ~고2학년 중)

      학생

      1개 학년만 실시
      (초 5학년~고 3학년 중)

      자료

      [붙임 4]

      [붙임 5]

      결과

      학교 자체 보관

      학교 자체 보관

    • 대상: 초·중·고·특수·각종학교
    • 제출방법: 학교 → 교육지원청 2025. 10. 24.(금)까지 [붙임 3] 자료집계 제출
                         교육지원청 → 도교육청 체육건강과 2025. 10. 31.(금) [붙임 3] 공문수합제출
7. 자체 점검 및 결과 제출
  • 학교 양성평등 자체 점검: 연 1회

    ‘학교 양성평등 자체 점검표’를 토대로 점검(교육부-엑셀서식 자료 참고)

  • 학교 자체 진단 후 자료 제출

    교육지원청으로 [붙임 3-1, 3-2, 3-3, 3-4, 3-5] 제출

    학교 양성평등 자체 점검표는 매년 10월 말까지 자체 점검 및 내부결재 후 학교 보관

  • 학교 양성평등 자체점검 기준표 활용

    학교 내 양성평등의 수준을 자율적으로 점검(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학교 구성원 (교원, 학생, 학부모)에 대한 교육내용과 시설 등에 관한 기준을 제시한 표

8. 평가 및 환류
  • 학교 실정에 맞는 양성평등교육 계획 수립 여부, 양성평등 활성화에 기여 여부 평가
  • 당해연도 양성 평등 수준 자체 진단 결과 분석으로 향상 방안 검토 및 차기연도 양성평등교육 계획에 반영

관련서식

[서식-초등-5-4-3-1] 양성평등교육 운영 계획(예시)[서식-초등-5-4-3-2] 양성평등교육 글짓기 대회 계획(예시)[서식-초등-5-4-3-3] 전교어린이회의 자료서식(예시)[서식-초등-5-4-3-4] 양성평등교육 가정통신문(예시)[서식-초등-5-4-3-5] 양성평등 학교 운영 현황 조사지[서식-초등-5-4-3-6] 학생 양성평등교육 만족도 조사지[서식-초등-5-4-3-7] 양성평등 자체점검 기준표[서식-초등-5-4-3-8] 양성평등 학교용평가결과제출 서식

관련규정

교육기본법 제17조의2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

양성평등기본법 제7조

양성평등기본법 제9조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체육건강과
  • 전화054-805-3491
  • 담당자 업데이트일자2025-08-07